가죽 제조 시 발생되는 문제점들

가죽부산물뿐만 아니라 화학약품을 이용한 제조 공정으로 인해 많은 환경문제가 일어납니다.

250가지 이상 화학약품

6가 크롬, 시안화물, 알데하이드 아연 등 발암물질 배출

가죽부산물 10% 이상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로스

국내 폐기물 연간 60만 톤

폐기 시 환경오염 폐기물 비용 연간 약 750억 이상

Product

커피박과 가죽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재생가죽

연간 폐기물로 발생되는 15만톤의 커피박과 60만톤의 가죽 찌꺼기를 활용하여 친환경 커피박 재생가죽을 생산합니다.

브라운스킨 커피박 재생가죽

자원순환율 95% 이상

커피 부산물 30%, 가죽 부산물 63%, 라텍스 7% 소재

28,000원/yd

식품 부산물, 가죽부산물 자원순환

강한 인장강도

항균성, 소취성

합리적인 가격

합성피혁

자원순환이 되지 않음

합성수지와 화학약품 소재

1 ~ 30,000원/yd

화학약품을 이용해 제작

무게가 가벼움

환경 오염도가 심함

비건가죽

자원순환율 45% 미만

각종 농업부산물 소재

5~80,000원/yd

농업부산물 자원순환

무게가 가벼움

유사 인조가죽

천연가죽

자원순환이 되지 않음

동물의 원피 소재

4 ~ 60,000원/yd

동물의 원피를 벗겨 제작

친환경 재생가죽,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소재화 적정 재료 선발 후 식품 부산물 수거, 건조, 분쇄, 시스템 확립

시기별 식품부산물 수거 및 결합테스트

원재료 유해성 검사 및 성분 발굴기술

원료에 맞는 시설을 통한 고분쇄 300mash 크기 균일화

80℃ 24시간 2회 일정 온도 건조 기술

-72℃ 극저온 동결건조 및 정밀분쇄

균일한 비율 혼합을 통한 재생가죽 소재화 기능성 활성화

원료와 가죽부산물 혼합 최적화

비율 혼합 재생가죽 베이스 생산 기술

Collaboration

브라운스킨과 함께한 기업들

커피박을 포함하여 다양한 식품 부산물을 이용한 재생가죽을 만들고 있습니다.

GS리테일과 커피가죽

커피박 재생가죽

브릴먼스와 감귤가죽

제주 귤껍질 재생가죽

롯데 웰푸드와 카카오가죽

카카오쉘 재생가죽

제휴문의

문의하기